1. 목형의 재료
1) 목형의 구비 조건
① 잘 건조되어 수분이 적고 수축이 적을 것
② 재질이 균일해서 변형이 없을 것
③ 가공이 용이하고 가공면이 고울 것
④ 적당한 강도와 경도를 가져서 파손이나 마모되지 않을 것
⑤ 가격이 저렴할 것

2) 목재의 수축 : 침엽수보다 활엽수가 수축이 크며, 심재보다 변재가 수축이 크다
목재의 수축의 크기는 나이테방향이 수선방향보다 크고, 수축방지를 위해서는 겨울에 벌채한다
3) 목재의 제재법
① 곧은결 널 : 팽창수축이 적고, 가공면이 아름다움
② 무늿결 널 : 곡면이 되기 쉬우나, 제재가 용이하고 재료량도 많게 된다.
③ 옹이결 : 특수장식용으로 이용

4) 목재의 건조 : 벌채한 생나무는 30~40%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축, 변형이 생기므로 건조하여 사용 한다.
건조하면 부패, 충해의 방지, 강도의 증대,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
① 자연건조법 : 야적법, 가옥적법
② 인공건조법 : 열기건조법, 침재법, 자재법, 증재법, 진공건조법, 훈재법, 전기건조법, 약제건조법
(1) 자연건조법
① 특징 :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정자로 쌓거나, 어긋나게 세워 대기온도에 의한 수액과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건조기간이 2~5년이 걸리며 충분한 건조에는 10년이 걸린다. 건조후 광택과 경도는 감소되지 않으나 긴 시일을 요하므로 균열이 생기기 쉽다.
② 종류
ⓐ 야적법 : 환목 또는 큰 목재에 이용
ⓑ 가옥적법 : 판재 또는 할재에 이용
(2) 인공건조법
① 특징 : 자연건조법에 비해 건조시간이 짧고, 많은 양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건조가 균일하지 않고 불완전하며변색되거나 재질에 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② 종류
ⓐ 열기건조법 (Hot Air Seasoning) : 실내공기를 70'c까지 가열해서 송풍기로 목재 사이에 보내어 건조하는 방법
ⓑ 침재법 (Water Seasoning) : 원목을 약 2주간 수침시켜 수액과 수분을 치환시킨 후에 공기의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건조하는 방법
ⓒ 자재법 (Boiling Water Seasoning) : 목재를 용기에 넣고 수증기로 내부의 수액을 축출한 후에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조작 및 설비가 비교적 간단하고 수축과 변형이 적고 건조가 빠르나 강도가 다소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 증재법 (Steam Seasoning) : 가열된 증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
ⓔ 진공건조법 (Vacuum Seasoning) : 진공상태에서 건조하며 열원은 Gas에 의한 가열 혹은 고주파로 이용
ⓕ 훈재법 (Smoking Seasoning) : 배기 Gas 혹은 연소 Gas로 건조하는 방법
ⓖ 전기건조법 (Electric Heat Seasoning) : 공기중에서 전기저항열 혹은 고주파열로 건조하는 방법
ⓗ 약제건조법 (Chemical Seasoning) : KCl, 산성백토, H2SO4 등과 같은 흡습성이 강한 건조제를 밀폐된 건조실에 목재와 함께 넣고 건조하는 방법이며, 대량의 처리에는 부적당하나 소량의 중요한 목재의 처리에 적당
5) 목재의 균열 : 목재를 자연건조법에 의해 건조하면 계절의 변동에 따라 균열이 생기기 쉽다.
(1) 심할, 윤할, 측할 : 일반기후에서 발생
(2) 성할 : 폭동 및 엄동이 원인이 되어 발생
(3) 전상할 : 벌채 시에 나무가 서로 부딪쳐 발생
6) 목재의 방부법
(1) 도포법 : 표면에 Paint나 Creosote Oil을 도포 or 주입하는 방법
(2) 침투법 : 염화아연, 승홍, 유산동 등의 수용액 혹은 Creosote에 목재를 몇시간 내지 며칠간 침지한 것으로서 가열하면 더욱 깊게 침투된다.
(3) 자비법 : 방부제를 끓여 부분적으로 침입시키는 방법
(4) 충진법 : 방부제를 목재에 구멍을 파고 넣는 방법
7) 재료의 접합 및 도장
(1) 접합 : 못, 나사못, Clamp에의한 접합, 서로 짜맞추는 접합, 접착제를 사용하는 접합
(2) 도장 : 조형할 때에 습기가 목형에 스미는 것을 방지하며 주물사와 분리가 잘되도록 하는 역할
8) 목재의 기계적 성질 : 인장강도는 압축강도보다 크고 전단강도는 극히 작고, 목재의 넓이 방향의 강도가 길이 방향의 강도에 비해 극히 작다.
9) 목재의 장단점 : 공작이 쉽고, 가볍고 취급이 편리하고 수리나 개조가 쉽고 값이 싸나 조직이 불균일하고 변형이 잘 일어나며 파손되기 쉽고 수축에 의한 치수가 잘 변한다.
'기계기술사 > 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형(모형) 일반 개론3 (0) | 2023.12.14 |
---|---|
목형(모형) 일반 개론2 (0) | 2023.12.13 |
고용도, 고용체 (0) | 2023.10.22 |
응고조직과 불순물 (수지상정, 주상정, 입상정, 결정립계, 적열취성, 저온취성) (1) | 2023.10.21 |
핵의 생성과 결정립의 크기와의 관계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