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계기술사57

주형 일반 개론3 (주형제작) 1. 주형 제작법 주형 제작시 일반적으로 다짐봉(Floor Hammer)을 사용하여 형을 제작하나 형이 특수하거나 대형인 경우에는 수작업이 아닌 조형기를 사용한다. 주형을 만드는 조형법은 설치방법에 따라 바닥주형, 혼성주형, 조립주형으로 구분되며 주형상자(Moulding Mask)를 이용한다. 1) 바닥주형법 (Open Sand Moulding) (1) 조형방법 ⓐ 바닥모래를 적당한 경도로 다져서 수평면으로 고르게 하고 이것에 목형을 넣고 다져 주형을 만든다. ⓑ 상형을 만들지 않는다. ⓒ 용융금속이 공기와 접촉하여 거칠게 됨 (2) 용도 : 중요하지 않은 간단한 제품 (판류, 심철) 2) 혼성주형법 (Bed in Moulding) (1) 주형방법 ⓐ 아래 상자 부분은 바닥을 이용하고 윗상자만을 이용하여.. 2023. 12. 24.
주조시 용탕의 주입온도 및 속도 1. 개요 주조시 용탕은 주입온도와 주입속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주입된 용융금속은 주형 내를 유동하면서 응고 및 냉각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용탕의 산화와 주형 침식이 방지되면서 연속적으로 빠르게 주입하여야 한다. 주입온도 및 속도의 악영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선정이 중요하다. 2. 주입온도 및 속도의 영향 구분 주입온도 주입속도 높다(빠르다) ⓐ 주물조직이 불균일하고 주물 내부에 기공이 발생됨 ⓑ 조직의 조대화로 취약한 주물이됨 ⓐ 주형 내면의 파손 우려 ⓑ 공기 및 Gas의 배출이 어렵다 ⓒ 불순물의 부유가 어렵다 ⓓ 주물에 열응력이 발생 낮다(늦다) ⓐ 주물성분이 불균일하고 주물 내부에 기공이 발생함 ⓐ 균일한 주물을 얻을 수 없다 ⓑ 취성 재질의 우려가 있다 ⓒ 얇은 주물 시 유동 불량.. 2023. 12. 24.
주형 일반 개론2 (주물사의 성질과 재생처리, 주물사 시험과 강도) ※ 주물사의 성질 1. 모래입자의 모양과 입도 분포 (1) 모래입자의 모양 : 구형(둥근형) 모래는 유동성과 통기성이 좋고 모래입자가 작고 예리할수록 점결제가 많이 필요하므로 강도는 높아지나 통기성은 저하된다. 그 밖에 각형, 다각형, 참각형 등으로 구분한다. (2) 입도분포 : 입도의 분포는 주물사의 강도, 통기도 등에 영향을 주며 단일 입도의 경우 주형의 통기도는 좋아지나 성형성이 나쁘게 되어 주물표면이 거칠게 된다. 2. 상온에서의 성질 (1) 습태성질 (물이 함유된 성질) ⓐ 점결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하나 통기도는 떨어진다. ⓑ 혼련시간이 길수록, 다짐횟수가 많을수록 주형의 압축강도는 증가하나 다짐횟수가 많으면 통기도는 떨어진다. ⓒ 점결제의 첨가량이 같을 때에는 입도가 클수록 압축.. 2023. 12. 23.
주형 일반 개론1 (주물사, 점결제) 1. 주물사 : 주형재료는 특별한 경우에는 금속을 사용하나 일반적으로는 모래를 사용하며, 이와 같이 주형제작에 사용되는 모래를 주물사라 한다. 주물사는 주성분인 모래 외에 주형 제작 시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첨가제와 점결제 등을 혼합한다. 점결제는 주형이나 코어가 성형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래에 섞어주는 재료이다. 그리고 주물사의 고온성을 높이거나 붕괴성을 향상시키고 또 표면이 깨끗한 주물을 얻기 위해 점결제 이외에 첨가하는 물질을 첨가제라 한다. 2. 주물사의 점결제 (Binder) : 점결제를 사용할때, 점결제의 효과를 잃지 않을 정도까지 온도를 올렸다가 그대로 방치한다. 건조가 불충분하면 함유하는 수분이나 가스에 의해서 주물 불량을 일으킨다. 또한 급격하고 과도한 건조는 코어를 약.. 2023. 12. 15.
목형(모형) 일반 개론3 ※ 목형의 제작 1. 현도법과 현도에서의 고려사항 1) 현도법 : 설계도면에서는 완성된 주물 치수만이 기재되어 있으므로 주형을 제작하기 위한 모형은 별도의 도면인 현도를 작성하여 제작한다. 현도에는 주조에 필요한 가공 여유, 주물의 두께에 대한 공차, 분할면 및 덧붙이형 등을 고려하여 기입하므로 제작도면과는 다소 변형되는 경우가 많다. 목형의 정밀도는 직접적으로 주물 제품에 영향을 주므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2) 현도에서의 고려사항 (1) 수축여유 (Shrinkage Allowance) : 목형은 주물의 치수보다 수축되는 양만큼 크게 만들어야 되는데 이 수축에 대한 보정량을 말한다. (주철 8mm/m, 주강주물, 알루미늄 20mm/m, 주물자 : 주물을 만들 때 재료마다 그 수축량을 미리 계산하여 그.. 2023. 12. 14.
목형(모형) 일반 개론2 2. 목형의 종류 : 모형은 필요한 형상의 주물을 만들기 위해 각종 재료로 만든 원형이며, 일반적으로 목재로 되어 있으므로 목형이라고 불리고 있다. 금속과 비금속으로 되어 있어 통칭하여 모형이라고 한다. 모형은 주물의 기본이 되는 것이므로 좋은 주물을 제작하려면 먼저 정확하고 쉽게 조형할 수 있는 모형을 만들어야 한다. 1) 현형 (Solid Patern) : 제작할 제품과 같은 모양의 모형, 수축여유와 가공여유를 첨가한 모형 (1) 종류 ① 단체목형 : 목형을 단일체로 제작, 간단한 형상 ② 분할목형 : 목형을 2개로 분할제작, 조형이 쉽고 주형을 쉽게 빼낼 수 있다. 단체목형과 조립목형의 중간단계 ③ 조립목형 : 분할형보다 많은 편으로 제작, 복잡한 형 2) 부분 목형 (Section Pattern).. 2023. 12. 13.
728x90
반응형